조국 사면 다음은 김용·이화영? 민주당의 '측근 구하기' 논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2025년 광복절,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의 사면·복권은 끝이 아닌 시작이었습니다. 이제 여권의 시선은 이재명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김용 전 민주연구원 부원장과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에게로 향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부터 두 인물의 석방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오면서, '사법 리스크'를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다시 한번 불붙고 있습니다.
"검찰 조작 희생자"…이재명 측근 구하기 나선 민주당
조국 전 대표 사면의 잉크가 마르기도 전, 민주당 의원 38명은 "정치 검찰의 조작 기소로 삶이 파괴된 이들이 여전히 감옥에 갇혀 있다"며 그 대표적 인물로 김용 전 부원장을 지목했습니다.
이들은 대장동 사건을 '이재명 죽이기'를 목표로 한 정치 공작으로 규정하고, 대법원을 향해 김 전 부원장을 무죄 취지로 파기환송하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했습니다.
김 전 부원장은 대장동 일당에게 불법 대선자금을 받은 혐의로 1·2심에서 모두 징역 5년을 선고받고 대법원 판단만 남겨둔 상태입니다.
동시에 '쌍방울 대북 송금' 사건으로 징역 7년 8개월이 확정되어 수감 중인 이화영 전 부지사에 대한 구명 운동도 본격화되었습니다.
민주당 '정치검찰 조작 기소 대응 TF'는 수원구치소를 찾아 이 전 부지사를 접견하고, "잘못된 판결로서 재심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사법부의 판결을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지지를 넘어, 사법부의 판단을 뒤집으려는 정치적 압박이라는 비판을 낳고 있습니다.
조국 사면 후폭풍, 복잡한 민주당의 속내
이번 '측근 구하기' 움직임의 배경에는 조국 전 대표의 사면이 있습니다. 친여 성향 지지층은 조 전 대표의 사면을 '검찰 권력에 대한 바로잡기'라며 환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김용·이화영 역시 '정치검찰의 희생자'라는 프레임을 강화하며 석방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민주당 내부의 기류는 복잡합니다. 조 전 대표의 복귀가 당내 정치 지형을 흔들고, 중도층 이탈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공존하기 때문입니다.
입시 비리 등 사회적 논란이 컸던 인물의 사면에 대한 국민적 여론도 팽팽한 상황에서, 또 다른 '사법 리스크' 인물들을 옹호하는 모습이 당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야당의 맹공: "예견된 보은 사면"
국민의힘은 이러한 움직임을 "예견된 수순"이라며 맹비난하고 있습니다. 국민의힘은 "조국 사면 다음은 이화영, 정진상, 김용 등 측근들을 위한 보은 사면이라는 것을 국민은 이미 꿰뚫어 보고 있다"며, 대통령의 사면권이 측근들의 범죄를 덮어주는 도구로 전락했다고 비판의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결국 조국 사면은 끝이 아닌 새로운 갈등의 시작이 되었습니다. 이재명 대통령의 사법 리스크와 직결된 최측근들의 구명을 위해 여당이 직접 나선 초유의 상황.
'정치검찰의 조작'이라는 주장과 '사법부 무력화 시도'라는 비판이 정면으로 충돌하면서, 대한민국 정치는 또다시 사법 리스크의 소용돌이 속으로 깊이 빠져들고 있습니다.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